
한국전력 전망 전기 에너지 유가 관련주
베아투스
·2025. 6. 24.
본 포스팅에서는 한국전력 전망 전기 에너지 유가 관련주 라는 주제로 한국전력 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한국전력공사는 1961년 설립된 대한민국 전력 산업의 핵심 기업이다. 전원의 개발, 전기의 생산, 송전, 변전, 배전 및 판매에 이르는 전력 산업의 전반적인 과정을 담당하는 독점적 공기업이다. 한국수력원자력 등 여러 발전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전국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국민 생활과 국가 산업의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사실상 국내 전력 시장의 유일한 판매자로서 국가 안보와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의 사업 특성은 공공성과 수익성이 공존한다는 점이다. 전기 요금이 정부의 규제를 받는 만큼, 국제 유가를 비롯한 발전 연료비 변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수익성이 크게 좌우된다. 특히 유가, 천연가스 가격 등 에너지 원자재 가격의 등락은 동사의 실적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또한,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탈원전,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와 전기 요금 조정 결정이 기업의 경영 환경과 재무 상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한국전력은 단순히 전기를 파는 기업이 아니라, 국가 에너지 안보와 직결된 중요한 주체로 평가된다.
1. 한국전력 (전기 에너지 유가 관련주)
▶ 투자정보
현재 시가총액은 21조8,910억원이고,
2025.03기준으로 PBR 0.52배, BPS 65,357원 그리고 EPS와 PER는 각각 8,191원, 4.16이다.
발행주식의 총 수는 641,964,077주이며, 그 중 45.55%, 292,414,637 가 유통 가능 주식 수이다.
한국전력은 전기 에너지 및 유가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국내 대표 공기업으로, 현재 시가총액 21조 8,910억 원을 기록하고 있다. 2025년 3월 기준 투자 지표를 살펴보면, PBR은 0.52배로 기업의 순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현저히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사가 공기업으로서 요금 규제에 묶여 수익성 변동 폭이 크고, 국제 유가 등 연료비 상승에 취약한 구조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EPS는 8,191원, PER는 4.16배로 나타났다. 특히 PER이 5배 미만이라는 것은 기업이 상당한 이익을 창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이익 대비 저평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향후 경영 환경 개선에 따라 주가 재평가 여지가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한국전력의 총 발행주식수는 641,964,077주이며, 이 중 45.55%에 해당하는 292,414,637주가 유통 가능 주식 수이다. 유통 가능 주식의 비율이 약 45%로 비교적 적은 편이라는 점은 지배 구조상 정부 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는 물량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사는 전기 요금의 정부 규제와 국제 유가 및 에너지 원자재 가격 변동에 매우 민감한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전기 요금 인상 여부, 국제 유가 및 천연가스 가격의 안정화가 기업의 실적 및 주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 결정 시에는 이러한 거시적 요인과 정부 정책 방향을 면밀히 분석해야 할 것이다.
▶ 기업개요
- 업종: 전기업
- 주요제품: 전력자원개발,발전,송전,전력용기자재확보
- 홈페이지: http://www.kepco.co.kr
▶ 사업의 개요
현재 국내 전력 산업의 체계는 전력생산, 수송, 판매 체계로 이뤄지고 있으며, 당사는발전자회사와 민간발전회사, 구역전기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전력거래소에서 구입하여 일반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및 매출)
당사의 주요 사업은 네 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전기판매부문[한국전력공사(주)]에서는 구역전기사업자 판매지역을 제외하고 국내 전역에 소비되는 전력량의 대부분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② 원자력발전사업부문[한국수력원자력(주)]과 ③ 화력발전사업부문[한국남동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에서 생산된 전기는 전력거래소를 통해 한국전력공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④ 기타사업부문으로 발전소설계[한국전력기술(주)], 전력설비정비[한전KPS(주)], 전력ICT서비스[한전KDN(주)], 원자력연료가공[한전원자력연료(주)], 해외전력사업 및 관련 투자사업 등이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당사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24조 2,2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하였습니다.
※ 부문별 사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Ⅱ.사업의내용 - 7. 기타 참고사항'의 '가.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과 '나. 사업부문별 현황 및 영업개황' 항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공시정보
공시대상회사 | 보고서명 | 제출인 | 접수일자 |
---|---|---|---|
한국전력공사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국민연금공단 | 2025.06.02 |
한국전력공사 | 대량주식취득승인신청서 | 국민연금공단 | 2025.05.30 |
한국전력공사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 정치교 | 2025.05.30 |
한국전력공사 | 기업지배구조보고서공시 | 한국전력공사 | 2025.05.29 |
한국전력공사 | 임시주주총회결과 | 한국전력공사 | 2025.05.28 |
한국전력공사 | 분기보고서 (2025.03) | 한국전력공사 | 2025.05.15 |
한국전력공사 | 주주총회소집공고 | 한국전력공사 | 2025.05.13 |
한국전력공사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 한국전력공사 | 2025.05.13 |
한국전력공사 | 주주총회소집결의 | 한국전력공사 | 2025.05.09 |
한국전력공사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 이흥렬 | 2025.05.09 |
한국전력공사 | [기재정정]소송등의제기ㆍ신청(일정금액이상의청구) | 한국전력공사 | 2025.05.08 |
한국전력공사 | 기업설명회(IR)개최(안내공시) | 한국전력공사 | 2025.05.08 |
한국전력공사 | 결산실적공시예고(안내공시) | 한국전력공사 | 2025.05.08 |
한국전력공사 | 소송등의제기ㆍ신청(일정금액이상의청구) | 한국전력공사 | 2025.05.07 |
한국전력공사 | 사외이사의선임ㆍ해임또는중도퇴임에관한신고 | 한국전력공사 | 2025.05.02 |
한국전력공사 | 해외증권거래소등에신고한사업보고서등의국내신고 | 한국전력공사 | 2025.04.29 |
한국전력공사 | 주주명부폐쇄기간또는기준일설정 | 한국전력공사 | 2025.04.23 |
한국전력공사 | 주주명부폐쇄기간또는기준일설정 | 한국전력공사 | 2025.04.18 |
한국전력공사 | 정기주주총회결과 | 한국전력공사 | 2025.03.26 |
한국전력공사 | [기재정정]타인에대한채무보증결정 | 한국전력공사 | 2025.03.21 |
2. 한국전력 전망 전기 에너지 유가 관련주 기술적 분석
한국전력(015760)의 일봉 차트를 보면, 최근 주가는 특정 가격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횡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료비 변동이나 요금 인상 기대감 등 외부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큰 추세를 형성하기보다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모습이다.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 20일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60일선, 120일선)과 수렴하며 에너지를 응축하는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거래량은 급등락 시점에 간헐적으로 증가할 뿐, 전반적으로는 활발한 매매보다는 관망세가 짙은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로서는 명확한 방향성보다는 박스권 상하단에서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할 것이다.
현재 주가는 중요한 지지선 부근에서 하방 경직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지선이 견고하게 유지된다면, 다시 박스권 상단 돌파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상대강도지수(RSI)나 스토캐스틱 슬로우(Stochastic Slow)와 같은 보조지표는 과열이나 과매도 구간을 벗어나 중립적인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전력은 정책 변수에 크게 좌우되는 종목이므로 보조지표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기는 어렵다. 동사의 주가 흐름은 국제 에너지 가격 동향, 정부의 전기 요금 정책 결정, 그리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이슈 등 외부적인 요인에 더 크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술적 분석과 함께 이러한 거시적, 정책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 투자포인트
아래 순위는 코스피, 코스닥 전 종목 대상으로 해당 거래일 기준으로 거래가 얼마나 활발하게 발생하고 관심이 집중되었는지와 몇 가지 알고리즘 및 조건을 적용하여 추출한 순위이다.
필자가 성공투자를 위해 항상 사용하는 것으로 오직 여기에서만 제공되며, 이 순위가 너무 뒤에 있으면 투자 대상에서 제외한다.
투자 시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래의 순위를 항상 확인하기를 권한다.
회전율은 전체 유통가능 주식수량 대비 해당 기간 거래일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이 거래량이 발생했는지를 의미한다.
- 5거래일 기준 696위, 회전율 0.06
- 10거래일 기준 589위, 회전율 0.16
- 15거래일 기준 653위, 회전율 0.22
- 21거래일 기준 673위, 회전율 0.29
- 63거래일 기준 993위, 회전율 0.58
한국전력은 기술적 분석으로 보았을 때 굉장히 좋은 분위기로 가는 중이다. 굉장히 정석적인 컵앤핸들을 그려가고 있다. 월봉으로 보면 무슨 말인지 알게 될 것이다. 가장 강력한 매물대를 모두 뚫어낸 상태이다. 그러나 현 주가 위치부터는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안정적으로 매수할 수 있는 가격대는 약 25,000원 부근으로 판단된다. 매도는? 최근 급등 흐름은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상승에 편승하여 많은 대형주들이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갑자기 상승한 흐름에 대한 피로로 이제 약세 흐름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매수한 상태라면 45,000원 부근까지 전량 매도하고 다시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이대로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영상으로 종목 확인은 아래 유튜브 채널을 이용 바란다.
3. 링크정보
3.1 관련포스팅
중앙에너비스 전망 에너지 LPG 석유 관련주
본 포스팅에서는 중앙에너비스 전망 에너지 LPG 석유 관련주 라는 주제로 중앙에너비스 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중앙에너비스는 1974년 설립된 석유류 판매 및 도소매 전문 기업이다. 주로 SK
beatusdevl.tistory.com
3.2 관련뉴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245875i
"신고가 찍었어요"…한전 '전기요금 동결'에도 주가 뛴 이유 [선한결의 이기업 왜이래]
"신고가 찍었어요"…한전 '전기요금 동결'에도 주가 뛴 이유 [선한결의 이기업 왜이래], '요금 동결'에도 20.7% 상승, 신고가 찍은 한국전력
www.hankyung.com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5/06/20250624094755808744093b5d4e_1
[특징주] 한국전력, 국제 유가 급락에 실적 개선 전망 '급등' - 글로벌이코노믹
한국전력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이란의 제한된 보복 공격으로 국제 유가가 급락하고 실적 개선 기대 전망이 나오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0
www.g-enews.com
3.3 추천 포스팅
한국정보인증 STO 토큰증권 디지털정책 관련주
본 포스팅에서는 한국정보인증 STO 토큰증권 디지털정책 관련주 라는 주제로 한국정보인증 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한국정보인증 지역화폐 정책주 관련주 한국정보인증은 1999년 설립된 공
beatusdevl.tistory.com
* 본 포스팅의 내용은 전자공시시스템, 네이버금융을 참고하였음.
* 본 포스팅의 일봉차트는 직접 생성하였으며, 이평선은 30, 60, 90, 120일봉을 나타냄.
* 본 포스팅은 종목추천이 아니며, 매수 또는 매도를 권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 바람.
'투자이야기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전망 하정우 AI 미래기획수석배출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6) | 2025.06.25 |
---|---|
흥구석유 전망 에너지 석유 관련주 (4) | 2025.06.24 |
중앙에너비스 전망 에너지 LPG 석유 관련주 (5) | 2025.06.24 |
코리아나 전망 중국시장회복 K뷰티 관련주 (9) | 2025.06.22 |
한국화장품 전망 중국시장 회복 K뷰티 관련주 (8)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