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_thumbnail

우리기술 원전주 원자력발전소해체 관련주

베아투스

·

2025. 6. 17.

본 포스팅에서는 우리기술 원전주 원자력발전소해체 관련주 라는 주제로 우리기술 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우리기술은 1993년 설립된 원자력발전소 제어계측 설비 전문 기업이다. 원전의 핵심 두뇌 역할을 하는 주제어반(MMIS)을 비롯해 원자로 안전 등급 제어 시스템, 핵연료 취급 장비 등을 개발 및 공급하며 국내 원자력 발전 산업의 국산화에 크게 기여해왔다.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원전의 설계, 건설, 운영,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외 원자력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기술의 사업 특성은 고도의 기술 집약적 산업에 속한다는 점이다. 원자력 분야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최우선되는 만큼, 고도의 기술력과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수적이다. 우리기술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다져왔다. 또한,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과 원전 확대 기조에 따라 신규 원전 건설 및 계속 운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동사의 사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더불어, 노후 원전의 증가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장의 성장 또한 새로운 사업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1. 우리기술 (원전주 원자력발전소해체 관련주)

 

 

 

 

▶ 투자정보

 

현재 시가총액은 5,959억원이고,

2025.03기준으로 PBR 5.28배, BPS 682원 그리고 EPS와 PER는 각각 -46원, N/A이다.

발행주식의 총 수는 165,530,656주이며, 그 중 91.49%, 151,443,997 가 유통 가능 주식 수이다.

 

우리기술은 원전 및 원자력발전소 해체 관련주로서 현재 시가총액 5,959억 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기준 투자 지표를 살펴보면, PBR은 5.28배로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상당히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동사의 실적보다는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및 원전 해체 시장 성장에 대한 시장의 강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일 것입니다. 특히 **EPS가 -46원으로 적자 상태이며, PER이 N/A(계산 불가)**라는 점은 현재 기업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전형적인 성장주 또는 테마주의 특성으로, 미래 기대감이 현재의 재무 성과보다 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우리기술의 총 발행주식수는 165,530,656주이며, 이 중 91.49%에 해당하는 151,443,997주가 유통 가능 주식 수입니다. 유통 가능 주식의 비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다는 것은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는 물량이 총 발행 주식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주식의 유동성이 매우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특정 이슈 발생 시 매도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서 주가 변동성이 매우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높은 유동성과 테마에 기반한 주가 흐름을 인지하고, 원전 정책의 실제 진행 상황 및 기업의 신규 수주 여부 등 핵심적인 사업 모멘텀을 면밀히 분석하여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업개요

 

  • 업종: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 · 공급 · 제어 장치 제조업
  • 주요제품: 시스템사업, 정보통신사업
  • 홈페이지: http://www.wooritg.com

 

 

▶ 사업의 개요

당사는 시스템사업부문, SOC사업부문, 임대사업부문, 해상풍력사업부문, 스마트팜사업부문, 방위사업부문, 저온분해유화사업, 소각재 자원순환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 시스템사업부문당사의 시스템사업부문은 30년간 국내 원자력발전소 감시제어시스템을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당사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가 요구하는 요건을 만족하는 사양과 성능을 제공하고 품질을 보증해 왔으며 대한민국 원전기술발전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원전 감시제어시스템 개발 및 공급 경험은 유/무선 네트워크기술, 디지털신호처리(DSP) 기술, Real-time OS 관련기술, 데이터베이스 처리기술 등의 첨단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관련 산업계 진출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 원자력사업1993년 회사 설립부터 현재까지 원자력발전소의 감시, 경보, 제어시스템을 100%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3대 핵심기술 중에 하나이며 발전소의 두뇌역할을 수행하는 "계측제어설비(MMIS : Man Machine Interface System)"를 국산화하여 신한울1,2호기 및 신고리5,6호기에 공급함으로써 세계에서 4번째로 원전핵심기술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또한, 2023년 신한울3,4호기 MMIS DCS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SMR(소형원자로) 산업생태계 기반조성 지원사업을 2년간(‘22~’23) 수행하며 SMR 적용 가능한 시험용 DCS Cabinet 설계 및 시험용 DCS 제어 Logic을 개발을 통해 SMR 원전 시장에 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이렇게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에 의한 Know-How를 기반으로 최고의 안전성과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원자력 분야의 감시제어시스템 개발, 설계, 제작, 시험, 정비에 대한 Total Solution을 확보하여 국내는 물론 해외 폴란드와 체코에서 추진 중인 신규 원전사업 수주를 목표로 가동 및 신규 건설원전 공급 범위를 확대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 공시정보

 

우리기술 공시정보(전자공시시스템 참고)
공시대상회사 보고서명 제출인 접수일자
우리기술 분기보고서 (2025.03) 우리기술 2025.05.15
우리기술 소속부변경 코스닥시장본부 2025.04.30
우리기술 증권발행결과(자율공시) 우리기술 2025.04.30
우리기술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우리기술 2025.04.28
우리기술 전환가액의조정 우리기술 2025.03.31
우리기술 정기주주총회결과 우리기술 2025.03.26
우리기술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우리기술 2025.03.24
우리기술 사업보고서 (2024.12) 우리기술 2025.03.18
우리기술 감사보고서제출 우리기술 2025.03.17
우리기술 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우리기술 2025.03.12
우리기술 주주총회소집공고 우리기술 2025.02.25
우리기술 주주총회소집결의 우리기술 2025.02.25
우리기술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우리기술 2025.02.25
우리기술 [기재정정]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우리기술 2024.12.24
우리기술 주주명부폐쇄기간또는기준일설정 우리기술 2024.12.16
우리기술 전환청구권행사 우리기술 2024.12.09
우리기술 [기재정정]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자율공시) 우리기술 2024.11.27
우리기술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우리기술 2024.11.18
우리기술 분기보고서 (2024.09) 우리기술 2024.11.14
우리기술 증권발행결과(자율공시) 우리기술 2024.10.25

 

 

2. 우리기술 원전주 원자력발전소해체 관련주 기술적 분석

원전주 원자력발전소해체 관련주 우리기술 일봉차트

 

 

우리기술(082640)의 일봉 차트를 보면, 최근 주가는 특정 테마에 의해 급등락을 반복하는 불안정한 흐름을 보여준다. 2023년 말부터 2024년 초까지 원전 해체 및 SMR(소형모듈원전) 테마로 강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재료 소멸과 함께 상당한 조정을 겪는 모습이다. 단기 이동평균선(5일, 20일)은 중장기 이동평균선(60일, 120일) 아래에서 역배열을 형성하며 하락 추세가 진행 중임을 시사한다. 거래량은 급등락 시점에 집중되었고, 현재는 감소하며 관망세가 짙어진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아직 명확한 바닥을 형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현재 주가는 중요한 지지선 역할을 하던 구간을 이탈하며 추가적인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과거 저점 부근에서의 지지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기술적으로는 더 깊은 조정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대강도지수(RSI)나 스토캐스틱 슬로우(Stochastic Slow)와 같은 보조지표는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거나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테마성 종목의 경우 보조지표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우리기술의 주가 흐름은 펀더멘털보다는 정부의 원전 정책, 해외 수주 소식, 그리고 정치적 상황 등 외부적인 테마 변화에 크게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 투자포인트

아래 순위는 코스피, 코스닥 전 종목 대상으로 해당 거래일 기준으로 거래가 얼마나 활발하게 발생하고 관심이 집중되었는지와 몇 가지 알고리즘 및 조건을 적용하여 추출한 순위이다.
필자가 성공투자를 위해 항상 사용하는 것으로 오직 여기에서만 제공되며, 이 순위가 너무 뒤에 있으면 투자 대상에서 제외한다.

투자 시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래의 순위를 항상 확인하기를 권한다.

회전율은 전체 유통가능 주식수량 대비 해당 기간 거래일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이 거래량이 발생했는지를 의미한다.

  • 5거래일 기준 5위, 회전율 3.76
  • 10거래일 기준 16위, 회전율 4.32
  • 15거래일 기준 25위, 회전율 4.90
  • 21거래일 기준 21위, 회전율 6.91
  • 63거래일 기준 92위, 회전율 7.83

 

월봉으로 보면 상장 초기를 제외하면 2018년도, 2021년도, 2024년도에 큰 시세를 낸 이력이 있다. 최근 3,945원을 기록하였고, 이 가격은 굉장히 높은 가격이다.

 

우리기술에 신규매수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최소 2,500원까지의 하락을 기다려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굉장히 큰 거래량과 함께 거의 최고점에 도달했기 때문에 현 가격대(3,500원 이상)에 진입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해 보인다.

 

우리기술은 원자력 관련주가 움직일 때에는 항상 같이 움직였고 큰 시세를 내는 종목으로 바닥구간인 2,000원 아래에서는 조금씩 모아두었다가 3,000원 위에서 매도하면 몇 년 주기로 좋은 수익을 주는 종목이다. 하지만, 앞에 언급했듯이 높은 가격대에서는 이번에는 주가 레벨업할 것을 기대하겠지 라는 생각으로 진입한다면 상당히 고생할 가능성이 크다.

 

관련 유튜브 링크

https://youtube.com/shorts/xwJpeWMkViw?feature=share

 

- YouTube

 

www.youtube.com

 

영상으로 종목 확인은 아래 유튜브 채널을 이용 바란다.


 

 

 

3. 링크정보

 

3.1 관련포스팅

태웅 원자력 SMR 풍력 관련주

 

태웅 원자력 SMR 풍력 관련주

본 포스팅에서는 태웅 원자력 SMR 풍력 관련주 라는 주제로 태웅 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태웅, 단조 산업의 견고한 강자태웅은 국내외 산업 현장에 필수적인 단조품을 생산하는 선도적인 기

beatusdevl.tistory.com

 

 

 

3.2 관련뉴스

https://www.wide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270002

 

[특징주] 우리기술 급등, “체코·미국 등 연이은 신규 수주”로 불붙은 K-원전주

우리기술(032820)의 주가가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우리기술의 주가는 전일 대비 24.04% 상승한 3380원에 거래 마감했다.이는 국내 원전주가 체코의 신규 원전 사

www.widedaily.com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6909

 

트럼프 원전 확대에 원자력 관련주 기대, 하나증권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우리기술 주목"

트럼프 원전 확대에 원자력 관련주 기대, 하나증권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우리기술 주목"

www.businesspost.co.kr

 

 

 

3.3 추천 포스팅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관련주-AI 시대의 필수 전기 생산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관련주-AI 시대의 필수 전기 생산

본 포스팅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관련주 라는 주제로 두산에너빌리티 기업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및 담수 플랜트, 주단조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

beatusdevl.tistory.com

 

 

 

 

 

 

​* 본 포스팅의 내용은 전자공시시스템, 네이버금융을 참고하였음.
​* 본 포스팅의 일봉차트는 직접 생성하였으며, 이평선은 30, 60, 90, 120일봉을 나타냄.
* 본 포스팅은 종목추천이 아니며, 매수 또는 매도를 권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 바람.

 

 

 

 

반응형